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우체국과 사람들

VOL 764 - 2025.05~06
VOL 762 - 2025.05~06 VOL 762 - 2025.03~04 VOL 762 - 2025.01~02 VOL 761 - 2024.11~12 VOL 760 - 2024.09~10
검색하기
  • 생활의재발견
    여행/취미
    인문학/문화
    과학/경제/시사
    건강/요리/스포츠
    조직문화/에세이
  • 사람들이야기
    인터뷰
    우체국&직원탐방
    우정카툰/소설
  • 우체국소식
    우정사업
    포스트뉴스
    소속기관뉴스
    우체국상품소개
    우정역사
  • 독자참여
    우체통 속 사람들
    이벤트
  • 직원게시판
    경조사/인사
    일정안내
    설문조사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이벤트
  • 여행/취미
  • 인문학/문화
  • 과학/경제/시사
  • 건강/요리/스포츠
  • 조직문화/에세이
  • 인터뷰
  • 우체국&직원탐방
  • 우정카툰/소설
  • 우정사업
  • 포스트뉴스
  • 소속기관뉴스
  • 우체국상품소개
  • 우정역사
  • 우체통 속 사람들
  • 이벤트
  • 경조사/인사
  • 일정안내
  • 설문조사
  • 공지사항
  • 자유게시판
이벤트참여하기
  • 생활의재발견
    여행/취미
    인문학/문화
    과학/경제/시사
    건강/요리/스포츠
    조직문화/에세이
  • 사람들이야기
    인터뷰
    우체국&직원탐방
    우정카툰/소설
  • 우체국소식
    우정사업
    포스트뉴스
    소속기관뉴스
    우체국상품소개
    우정역사
  • 독자참여
    우체통 속 사람들
    이벤트
  • 직원게시판
    경조사/인사
    일정안내
    설문조사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 동영상 모아보기
  • 사보 월별 모아보기
홍영식 가족사진 우체국사람들 우체국보험 직장문화
  • 생활의재발견
  • 과학/경제/시사

과학/경제/시사

한 줄의 코드도 작성할 필요 없는 개발 방식, 노코드

현실에서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개발은 사실 비즈니스를 구현하기 위한 일이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사업을 위해서는 전자상거래의 전 과정을 그대로 구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신속한 소프트웨어 개발이란 신속한 비즈니스 구현과 일맥상통한다. 치열한 시장 경쟁 상황에서 비즈니스의 속도가 나날이 중요해짐에 따라 ‘노코드(No-code) 개발’, 즉 한 줄의 코드도 작성할 필요 없는 새로운 개발 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글. 류한석 IT 칼럼니스트

한 줄의 코드도 작성할 필요 없는 개발 방식, 노코드
2022.10

프린트버튼

풀코드, 로우코드, 노코드 개발의 차이는 무엇일까?


노코드를 살펴보기 전에 먼저 기존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인 풀코드(Full-code), 노코드와 풀코드 사이에 위치한 로우코드(Low-code)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개발자 중심의 풀코드 개발에서는 기획, 설계, 코딩, 테스트, 배포의 단계를 거쳐야 했으며 이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모됐다. 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로우코드 개발이다. 로우코드 개발에서는 사용하기 쉬운 코딩 솔루션과 사전에 제작된 템플릿을 통해 코딩 경험이 적은 초보 개발자라도 빠르게 소프트웨어 개발이 가능하다.

더 간편해진 노코드 개발은 코딩 경험이 전혀 없는 일반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방식이다. 로우코드 개발과 마찬가지로 템플릿과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끌어다놓기 식으로 개발을 하게 되는데, 로우코드 개발과는 달리 코드 한 줄 작성하지 않아도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다. 정식 명칭은 노코드지만 국내에서는 노코딩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시장에서 주목받는 노코드 개발 도구들


노코드 개발이 인기를 끌면서 국내외에서 다양한 도구들이 쏟아지고 있는데 일부 도구는 로우코드, 노코드를 동시에 지원하기도 한다. 시장에서 주목받는 몇 가지 도구를 살펴보자.

웹플로우(Webflow)는 노코드로 전자상거래, 구인구직 사이트 등 모든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다양한 반응형 템플릿과 시각적 개발을 통해 고품질의 웹사이트를 빠르고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다.글라이드(Glide)는 구글 스프레드 시트나 액셀을 이용해 노코드로 빠르게 스마트폰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준다. 템플릿 스토어를 통해 수 백여 개의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며, 이미 50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100만 개 이상의 앱을 글라이드로 만들었다.

아달로(Adalo)는 리스트, 양식, 결제, 차트, 버튼, 텍스트 등 수십 여 개의 끌어다놓기 구성요소를 조합해 스마트폰 앱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호작용 기능도 노코드로 추가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생성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버블(Bubble), 코다(Coda), 파라볼라(Parabola), 메이커패드(Makerpad), 보이스플로우(Voiceflow) 등이 주목할 만하다. 국내에서는 소프트파워의 스마트메이커, 딥노이드의 딥파이가 있으며 스타트업 에이아이노미스가 노코딩AI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알려져 있다.



노코드 개발의 이점과 코딩의 미래


무엇보다 노코드 개발은 개발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자신의 업무에 맞는 효과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만들어 사용할 수 있어, 회사 전체적으로 더 많은 비즈니스를 자동화할 수 있다는 커다란 이점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3가지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생산성 증대와 비용 절감을 가져온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고, 빠르면 몇 시간 내 개발도 가능하다. 게다가 개발자의 도움 없이 셀프 서비스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어 긴급한 상황에서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풀코드 개발보다 훨씬 더 적은 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둘째, 사용자의 비즈니스 이해도가 향상된다. 노코드 개발은 코딩이 아니라 비즈니스의 완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노코드 개발 과정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이해도가 크게 증대될 수밖에 없다.

셋째, 조직 내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개발자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에만 참여하면 된다. 고급 개발자가 더 중요하고 어려운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때문에 즉시 손쉽게변경이 가능하고, 동료 및 타부서와 애플리케이션·데이터를 공유하거나 통합하는 일도 용이하다. 

좋아요3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네이버 카카오스토리 클립보드
이전 다음 글보기
이전글 환경을 위한 실천 폐의약품, 어떻게 버리세요?
다음글 ‘제2차 규제혁신전략회의’에서 「디지털산업 활력제고 규제혁신 방안」 발표
목록가기

많이 읽은 글

1/4

다정한 사람이 성공한다

다정한 사람이 성공한다

매일 먹는 비타민, 그냥 먹지 말고 잘 먹어야죠

매일 먹는 비타민, 그냥 먹지 말고 잘 먹어야죠

한 줄의 코드도 작성할 필요 없는 개발 방식, 노코드

한 줄의 코드도 작성할 필요 없는 개발 방식, 노코드

활짝 웃는 얼굴, 정이 담뿍 담긴 곳

활짝 웃는 얼굴, 정이 담뿍 담긴 곳

마실 오듯 편안하고 정이 있어 따뜻한 곳

마실 오듯 편안하고 정이 있어 따뜻한 곳

집안에 쓰러진 아버지를 살펴주신 고마운 집배원님

집안에 쓰러진 아버지를 살펴주신 고마운 집배원님

우편물 분실 걱정은 이제 그만

우편물 분실 걱정은 이제 그만

문서를 보내면 우편물로 제작해 전달하는 우체국 e-그린우편

문서를 보내면 우편물로 제작해 전달하는 우체국 e-그린우편

2023년 우정사업 전략 살펴보기

2023년 우정사업 전략 살펴보기

50년 만에 남산도서관 벽에 비친 나의 이모부!

50년 만에 남산도서관 벽에 비친 나의 이모부!

우체국 책상달력

우체국 책상달력

슬기로운 취미생활

슬기로운 취미생활

좋아요 많이 한 글

1/4

다정한 사람이 성공한다

다정한 사람이 성공한다

24시간 가동되는 자동화 서비스 호주 브리즈번우체국

24시간 가동되는 자동화 서비스 호주 브리즈번우체국

매일 먹는 비타민, 그냥 먹지 말고 잘 먹어야죠

매일 먹는 비타민, 그냥 먹지 말고 잘 먹어야죠

켜켜이 쌓인 36년간의 기록을 담아 제천우체국 석용진 국장

켜켜이 쌓인 36년간의 기록을 담아 제천우체국 석용진 국장

집안에 쓰러진 아버지를 살펴주신 고마운 집배원님

집안에 쓰러진 아버지를 살펴주신 고마운 집배원님

우체국 신입의 하루

우체국 신입의 하루

2023년 우정사업 전략 살펴보기

2023년 우정사업 전략 살펴보기

MZ카드로 우체국에 파킹하자!

MZ카드로 우체국에 파킹하자!

우편물 분실 걱정은 이제 그만

우편물 분실 걱정은 이제 그만

우체국 책상달력

우체국 책상달력

꽉찬 꽃밭

꽉찬 꽃밭

별 3개짜리 일기

별 3개짜리 일기

추천 태그
#홍영식 #가족사진 #우체국사람들 #우체국보험 #직장문화 #전통시장 #우체국쇼핑 #재테크
  • 이벤트참여하기 우체국과 사람들 이벤트 참여하기
  • 동영상모아보기 우체국의 다양한 동영상 모아보기
  • 사보 월별 모아보기 월별 PDF 다운로드, 기사 모아보기
우체국쇼핑몰
인터넷우체국
우정박물관
우표박물관
우정사업본부
우체국쇼핑몰
인터넷우체국
우정박물관
우표박물관
우정사업본부
이벤트참여 영상모아보기 홈 웹진모아보기 메뉴
  • 우편 챗봇 우편톡! 우편 챗봇 우편톡 팝업
  • 우체국 금융톡톡! 우체국 우정톡톡 팝업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글자 크기가 작아졌습니다.
가  -가  -가  +가  +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CS게시판

공지사항

  • 2025 우체국사보 1+2월호 이벤트 당첨자 발표
  • 2024 우체국사보 11+12월호 당첨자 발표
이전 다음

우정사업본부

KOREA POST MAGAZINE

해당 웹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우정사업본부의 허락 없이 무단으로 복제,배포 사용할 수 없습니다.

(30114) 세종특별자치시 도움5로19 (어진동) 우정사업본부

문의 : 한국우편사업진흥원 우체국과 사람들 담당자 | hj1911@posa.or.kr

고객센터 : 우편 1588-1300, 예금 1599-1900, 보험 1599-0100

관련사이트
우정사업본부 우체국공익재단 한국우편사업진흥원 우체국금융개발원 우체국시설관리단 우체국물류지원단 별정우체국중앙회 우정박물관

  • 사이트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CS게시판